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피부병 - 피부병치료 - 한의학적 접근 방법
    피부병에 관하여 2024. 3. 5. 10:37
    반응형
    목차
    서론 - 피부병치료 - 한의학적 접근 방법
    본론 - 한의학적 치료 접근 사례
    결론 - 한의학적 접근 사례총평

     

    피부병 치료, 한의학적 치료사례

    서론 - 피부병치료 - 한의학적 접근 방법

    한의학에서는 피부병을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진단하고 치료합니다. 피부병의 원인을 내인과 외인으로 나누고, 환자의 증상, 피부색, 혀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맞춤 치료를 시행합니다.

    내인은 기혈허약, 음허, 심화, 폐열, 담열 등으로 분류됩니다. 외인으로는 풍열, 습열, 건조, 독기 등이 있습니다.

    본론 - 한의학적 치료 접근 사례

    한의학에서 피부병을 치료하는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아토피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의 습성이 불균형하고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된 상태로 보고되며, 주로 가려움증, 건조함, 발진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증상을 적절히 다루기 위해 다양한 치료법을 제공합니다.

    증상별 치료

    가려움증

    풍열형: 피부가 붉고 뜨거운 경우, 풍열을 제거하고 가려움증을 완화하기 위해 청피, 인진, 황백 등을 사용합니다.

    습열형: 습진이나 수포와 함께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경우, 습기를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택사, 궁궁, 창출 등을 사용합니다.

    혈허형: 피부가 건조하고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 혈액을 보충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당귀, 천궁, 숙지황 등을 사용합니다.

    건조함:

    음허형: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한 경우, 음기를 보충하고 촉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숙지황, 산조인, 천문동 등을 사용합니다.

    혈허형: 겨울철에 악화되는 경우, 혈액을 보충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당귀, 천궁, 숙지황 등을 사용합니다.

    발진:

    풍열형: 붉고 뜨거운 발진이 발생하는 경우, 풍열을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청피, 인진, 황백 등을 사용합니다.

    습열형: 습진이나 수포가 발생하는 경우, 습기를 제거하고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택사, 궁궁, 창출 등을 사용합니다.

    혈허형: 붉은 반점이나 멍이 발생하는 경우, 혈액을 보충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기 위해 당귀, 천궁, 숙지황 등을 사용합니다.

    체질 개선:

    기혈허약: 피부가 약하고 외부 자극에 민감한 경우, 기와 혈액을 보충하고 면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장, 황기, 대추 등을 사용합니다.

    심화: 스트레스가 아토피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 심신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산조인, 황련, 원지 등을 사용합니다.

    폐열: 폐의 열이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폐의 열을 식히고 피부의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맥문동, 인진, 감초 등을 사용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개별적인 환자의 증상과 체질에 맞추어 맞춤 치료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관리합니다.

    여드름

    여드름은 피지선 분비 과다, 각질 비정상 증식, 세균 감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여겨집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여드름을 주로 피부의 혈액 순환 장애와 내분비 불균형으로 본 후 적절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1. 증상별 치료

    가벼운 여드름:

    심화: 스트레스가 여드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산조인, 황련, 원지 등을 사용하여 심신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합니다.

    혈허: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여드름 발생 시, 피부가 창백하고 피곤한 경우, 당귀, 천궁, 숙지황 등을 사용하여 혈액을 보충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합니다.

    음허: 음기 부족으로 인한 여드름 발생 시,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며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 숙지황, 산조인, 천문동 등을 사용하여 음기를 보충하고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합니다.

    심한 여드름:

    폐열: 폐의 열이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맥문동, 인진, 감초 등을 사용하여 폐의 열을 식히고 피부의 염증을 완화합니다.

    담열: 담즙의 흐름 장애로 인한 여드름 발생 시, 피부가 지성이고 노랗거나 붉은 색을 띠는 경우, 청피, 감초, 지황 등을 사용하여 담즙의 흐름을 개선하고 염증을 완화합니다.

    혈독: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여드름 발생 시, 농포가 발생하거나 흉터가 남는 경우, 적작, 황금, 지황 등을 사용하여 혈액을 정화하고 염증을 완화합니다.

    2. 체질 개선

    기혈허약: 기와 혈액이 부족하여 피부가 약하고 외부 자극에 민감한 경우, 기장, 황기, 대추 등을 사용하여 기와 혈액을 보충하고 면역력을 향상시킵니다.

    심화: 스트레스가 여드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산조인, 황련, 원지 등을 사용하여 심신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합니다.

    폐열: 폐의 열이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맥문동, 인진, 감초 등을 사용하여 폐의 열을 식히고 피부의 염증을 완화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여드름의 증상과 개인의 체질에 맞추어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합니다.

    결론 - 한의학적 접근 사례총평

    피부병은 주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고, 면역력 체계의 문제가 생겨서 발생한다는 것이 한의학적으로 피부병을 바라보는 견해입니다. 저 또한 습진과 여드름으로 고생을 진짜 많이 했는데 치료 4개월 만에 많은 효과를 누렸던 기억이 납니다. 헌대 한의학적으로 피부병을 고치기 위해서는 일반 병원보다 돈도 많이 들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각자의 주머니 사정에 맞게, 주변 환경에 맞게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일반 병원은 주로 스테로이드를 환부에 발라 염증을 완화시켜 피부장벽을 원상복구 하는 것이라면, 한의학은 몸 자체에 떨어진 피부 면역력 체계를 바로 잡음으로서 염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섭취하는 음식 및 꾸준한 체력회복 운동을 통해 몸에 무너진 균형을 바로잡고 탕을 통하여 장 건강 및 위 건강을 증진시키고 힘을 복 돋는 약을 섭취합니다.

    개인적으로 운동은 좋아해서 꾸준히 했지만, 약을 먹는동안 음식섭취에 관해서 엄격하게 통제해야 약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치료 동안 참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들은 피해야 하며 밀가루보단 밥 위주로 먹길 권장합니다.

Designed by Tistory.